서브상단 글자

Introduction

HOME     SIGs     Introduction

컨텐츠 내용입니다.

English Literature & Culture Education
영미문학 및 문화 교육 분과

1. 목표
영미문학 및 문화 교육 분과에서는 EFL 영어교육에서 영미문학과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학문적으로 정립하고 실제 현장의 교과교육에 적용 가능한 교수요목, 교재, 수업, 평가 모형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EFL 영어교육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2. 필요성
문학은 문화의 한 분야로서의 의미도 지니면서, 동시에 영어교육의 실질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학생들은 논픽션뿐만 아니라 픽션에도 빈번히 노출되어야 하는데, 특히 동화, 동요, 우화, 신화 등에 등장하는 주제나 인물, 줄거리 등은 영어권 문화의 스키마로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이해는 영어 능력 향상에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영어교육의 목표를 크게 두 가지로 확립하여 왔는데, 하나는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다른 하나는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이다. 문화는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제 5의 기능’으로 언급될 정도로 중요한 연구 분야이나 현행 우리나라 학교교육 교육과정에서는 영미문화에 대한 반영이 미비한 상태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3. 세부 연구 분야
. 학습자문학(Learner Literature)
. 다독(Extensive Reading)
. 아동문학(Children’s Literature)
. 비판적 문해(Critical Literacy)
. 문화 소재, 패턴, 스크립트(Cultural Topics, Patterns, Scripts)

4. 참고 도서
<Literature>
Duff, A., & Maley, A. (1990). Litera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olmes, V., & Moulton, M. R. (2001). Writing simple poems: Pattern poetry for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ley, A., & Duff, A. (1990). The inward ear: Poetry in the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ndler, J. M. (1984). Stories, scripts, and scenes: Aspects of schema theor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김경한. (2014). 한국형 EFL 영문학교육론—학습자문학의 이론과 실제 정립. 서울: 한국문 화사.

<Culture>
Byram, M. (1997).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Hall, E. T. (1976). Beyond culture. NY: Doubleday. (Handout)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and why. NY: Free Press.
Stewart, E. C., & Bennett, M. J. (1991). American cultural pattern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NY: Intercultural Press.